반응형

박하사탕 포스터
박하사탕 포스터

  "박하사탕"은 이창동 감독의 걸작으로, 개인적인 이야기와 역사적인 맥락을 혼합하여 강력하고 감정적인 울림을 주는 영화를 만들었습니다. 그것은 스토리텔링과 캐릭터 개발에 있어서 이감독의 기술을 보여주면서, 한국 영화에서 가장 중요한 영화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1. 이창동 감독 소개와 그의 작품의 특징 

 이창동은 깊고 가슴 아픈 스토리텔링과 세심한 영화적 기술로 매우 호평을 받고 있는 대한민국의 영화 제작자입니다. 1954년 7월 4일 대한민국 대구에서 태어난 이창동은 소설가로서 경력을 시작했고 후에 영화 제작으로 전향했습니다. 문학에서의 그의 배경은 풍부한 서사와 복잡한 캐릭터로 특징지어지는 그의 영화 제작 스타일에 깊은 영향을 미칩니다. 영화 제작자가 되기 전에, 이창동은 고등학교 선생님으로 일했고 2003년부터 2004년까지 한국의 문화관광부 장관으로도 일했습니다.
 이창동 영화제작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설가로서의 이 감독의 배경은 잘 발달된 캐릭터, 복잡한 줄거리, 그리고 주제와 상징성에 대한 강한 집중들이 그의 영화에서 분명히 드러나도록 해줍니다. 그의 영화들은 인간의 경험, 고통, 그리고 회복력의 깊이를 탐구하는 깊은 휴머니즘에서 출발합니다. 그리고 그는 종종 소외된 개인들과 사회 내에서의 그들의 투쟁에 초점을 맞춥니다. 이감독의 영화는 현실적인 삶의 묘사로 유명합니다. 그는 현실감을 만들기 위해 자연주의적인 대화, 실제적인 설정, 그리고 세부적인 캐릭터 개발을 사용합니다. 그의 작품들은 그의 캐릭터들의 심리적이고 감정적인 복잡성을 깊이 파고들어 감정적으로 심오합니다. 그의 영화들은 종종 관객들로부터 깊은 성찰과 공감을 불러일으킵니다. 그의 영화는 종종 현대 한국 사회의 빈곤, 불의, 그리고 인간의 상태와 같은 사회적 문제를 다룹니다. 그는 더 넓은 사회 문제에 대해 논평하기 위해 개인적인 이야기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이야기가 천천히 그리고 유기적으로 전개되도록 하는 의도적인 걸음걸이로 유명합니다. 이 접근법은 관객들이 등장인물들과 연결되고 이야기의 뉘앙스를 흡수할 수 있는 시간을 줍니다.

 이창동 감독은 초록물고기로 데뷔해 박하사탕, 오아시스, 밀양, 시, 버닝 등 다수의 작품들로 각국 영화제의 수상 이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 영화 박하사탕의 줄거리

  "박하사탕"(박하사탕)는 1999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입니다. 그것은 개인적, 사회적 트라우마에 대한 가슴 아프고 강력한 탐구이며 현재(1999)에서 시작하여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며 지난 20년간 용호의 삶에서 중요한 사건들을 보여줍니다. 주요 등장인물은 주인공 김영호, 영호의 첫사랑 윤순임, 이혼한 아내 양홍자 등이며 그 외 시대상을 반영하는 주변 인물들이 등장합니다. 
 오프닝 장면에서 영화는 용호(솔경구)가 강변 소풍에서 옛 친구들과의 재회에 참석하면서 시작됩니다. 감정적으로 혼란스러운 상태에서 그는 모임을 방해하고 근처의 철교로 걸어가고, 그곳에서 그는 "나 돌아가고 싶어!"라고 외치며 다가오는 기차에 치여 죽음에 이르게 됩니다.

 챕터가 7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챕터 1 : 용호의 친구들이 용호의 괴로움을 이해하려고 애쓰면서 강변 소풍 현장은 어수선합니다. 이 설정은 용호의 삶을 통해 이야기가 역주행하는 출발점이 됩니다.
챕터 2 :  1994 - 용호의 쇠락
 5년 전, 용호는 심각한 감정과 심리적인 문제들로 힘들어하는 부서진 남자입니다. 그는 아내 홍자로부터 소외되고, 그들의 관계는 분노와 폭력으로 특징지어집니다. 용호의 삶은 혼란스럽고, 그는 길을 잃고 절망적으로 보입니다.
챕터 3 : 1987 - 경찰관
1987년, 용호는 한국의 정치적인 불안의 시기에 경찰관입니다. 영화는 그가 정치적인 반체제 인사들의 고문에 연루되었다는 것을 드러내며, 이것은 그의 도덕적인 붕괴와 심리적인 트라우마의 원인이 됩니다. 심문 중 그의 잔혹한 행동은 그를 괴롭혀, 점차 인간성을 잃게 만듭니다.
챕터 4 : 1984 - 실패한 로맨스
1984년, 용호의 낭만적인 삶은 그의 삶에서 희망과 순수함을 살짝 보여주는 젊은 여성 선임(문소리)을 만나며 탐구됩니다. 그러나 감정적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점점 더 멀어지는 그의 감정은 그의 상실감과 안타까움을 더하면서 그들의 관계를 해체시킵니다.
챕터 5  : 1980 - 군인
용호는 1980년 광주항쟁 당시 군인 신분으로 민간인 시위를 폭력적으로 진압하는 것을 목격하고 참여합니다. 이 사건은 깊은 심리적 상처를 남기며 그의 인생에 전환점을 맞춥니다. 학살에 연루된 것은 그의 이후 감정 악화의 핵심 요인입니다.
챕터 6 : 1979 - 사진작가
1979년, 용호는 사진작가가 되는 꿈을 가진 젊고 이상주의적인 남자입니다. 그는 희망으로 가득 차 있고 그의 앞에 밝은 미래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장은 그의 후기 삶과 극명하게 대조되며, 그 사이에 일어난 사건들이 그의 정신과 열망에 미친 영향을 강조합니다.
챕터 7 : 1979 - 순수함
영화는 용호가 순임과의 첫사랑을 회상하며 끝납니다. 그들은 강가에서 부드러운 순간을 공유하는데, 그곳에서 용호는 그녀에게 페퍼민트 사탕을 줍니다. 이 장면은 삶의 가혹한 현실과 남한의 정치적 혼란이 피해를 주기 전에 그가 한때 가졌던  순수함을 상징합니다.

3. 국내외 반응과 총평 

 박하사탕은 이창동 감독의 감독의 데뷔작인 초록물고기에 이은 2번째 영화로 1999년 10월 14일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작으로 상영되었고, 2000년 1월 1일 정식으로 개봉하였으며 대종상 영화제에 남자 신인 배우상(설경구)을 포함하여 감독상, 시나리오상, 여우조연상(김여진), 최우수작품상 등 주요 5개 부문을 휩쓸었으며 이창동을 본격적으로 국제무대에 소개해준 영화이기도 합니다.  흥행도 성공하여 당시 서울 관객 290,352명이 관람했다고 합니다. 

 역연대기적 구성은 용호의 비극적 최후의 필연성을 강조하며, 과거의 사건들이 한 사람의 현재와 미래를 어떻게 형성하는지를 관객들에게 되돌아보게 합니다. 영화는 용호의 초기 낙관주의와 순수성이 그가 직면한 냉혹한 현실에 점차 잠식되면서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무죄의 상실을 뼈저리게 묘사합니다. "박하사탕"은 또한 한국의 격동의 정치사, 특히 광주항쟁과 권위주의적 과거가 개인의 삶에 미친 영향에 대한 해설 역할을 합니다. 이 영화는 고통과 후회 그리고 구원의 탐색에 대한 깊은 인간적인 이야기로 외부 사건과 개인의 선택이 어떻게 얽혀 자신의 운명을 형성하는지 탐구합니다. 

 박하사탕에 대한 리뷰 중 눈에 띄었던 몇 가지를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씨네 21 전 편집장이었던 조선희 씨는 "90년대 이후의 한국영화 문제작들이 수많은 캐릭터를 생산해 냈지만 그 인물들 가운데 대다수는 그야말로 트렌드로 왔다가 트렌드를 타고 사라졌는데 유독 이창동의 인물들은 다들 주민등록번호와 주소가 정확히 찍힌 주민등록증 하나씩 지갑 안에 넣고 우리 주위에 섞여서 살아가고 있다는 느낌"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영화감독 이윤기 님은 "이념적으로나 배경적으로 그를 해석하려 한다면 할 말이 없으나 이창동 감독의 영화는 목적이 뚜렷하다. 인간적이고 소박한 신념을 포장하지 않고 자의식 과잉도 없이 한국역사를 관통하는 소외된 자들을 다다. 완성된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용기요, 현재로서는 유일한 감독이다"라고 극찬하였습니다. 

 

 

반응형